2024학년도 대비 EBS수능 특강 문학2 EBS 수능특강 문학 051 소리의 빛 (이청준) 소리의 빛 (이청준) 판소리를 매개로 한의 정서를 창조적으로 승화한 소설. 판소리는 서민들의 애환을 담고 있다. 서민들은 판소리를 부르고 듣는 과정을 통해 위로를 받고 치유된다. 판소리는 응어리진 정서를 풀어내고 한의 예술적 승화를 이루어낸다. [여자] : [달래듯]한 목소리로 말하면서 [북통과 장단 막대]를 사내 앞으로 밀어 놓는다. 소리를 듣고 싶으면 장단을 잡아달라는 시늉이다. 이는 [흔히 해 온 일]이지만 [사내의 솜씨]를 [믿는 얼굴]이다. [사내] : 오히려 뜻밖이라 [당황]하는 빛이 역력하다. 보이지는 않지만 여자의 눈은 사내를 [강요해 오는 듯]하다. [피할 수 없는] 일이라 생각하고 [북통]을 끌어 [당긴다.] 여자가 사내의 부탁으로 판소리를 하려고 북을 내밀 때 태도를 잘 파악해야 한다.. 2023. 4. 30. EBS 수능특강 문학 050 우리 동네 김 씨 (이문구) 우리 동네 김 씨 (이문구) 시대 : 1970년대 변화되어 가는 농촌 인물 : 김승두 가뭄으로 옆 마을 물을 양수기로 퍼, 시비가 붙음 비판 : 농민에게 도움 되지 않는 잔소리나 하는 민방위 교육 정부와 관청 주도의 근대화 시책 일방적 태도로 농촌을 계몽하려는 관청 주도의 행사 관리들의 권위적인 모습 해학 : 농민들이 소외에 대한 씁쓸함을 조롱, 야유, 투덜거림으로 표출 김 : (떨떠름하나 주눅 들지 않고) 물을 끌어 쓰는 것은 땅임자의 [도리]고 결국 [효도]다. 중년 : 남의 재산을 [불법적]으로 썼으면서 [핑계만] 대는구나. 김 : (급한 김에 말도 안 되게) 불법적으로? [물법적]으로 썼다. 중년 : (어이가 없어 한탄하듯) [뭘 아는 사람이라야] 대화를 하지 김 : (무슨 말인지 못 알아듣는 중.. 2023. 4. 3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