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 전지의 원리
-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건전지는 [화학 전지]이다, [화학 전지]는 [화학반응]으로 전기를 발생시킨다. 이때 [음극]은 [전자를 잃고] [산화]되는 쪽이고 [양극]은 [전자를 얻고] [환원]되는 쪽이다. 그리고 [전자]는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한다.
- 화학 전지의 음극과 양극은 금속의 [이온화 경향]에 의해 결정된다. [이온화 경향]은 금속이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기 쉬운 정도를 말한다. 두 금속이 있을 때, 상대적으로 [이온화 경향]이 큰 쪽이 [전자를 잃고] [산화]되어 [음극]이 된다. 예를 들어 아연은 구리보다 이온화 경향이 크기에 음극이 되고 전자를 양극인 구리 쪽으로 보내게 된다. 참고로 [전류]는 전자의 흐름과 반대로 [양극]에서 [음극]으로 흐른다.
- 좀 더 자세히 한 발만 깊이 들어가 보자. 특정 금속의 [이온화 경향]은 그 금속의 [반응열]이 클수록 [커진다. ] 그렇다면 [반응열] 어떻게 구할까? 금속에서 원자 하나가 떨어져 나와 개별적으로 양이온이 되려면 에너지가 필요해 열을 흡수한다. 이것이 [흡열 반응(음으로 표시)]이다. 이어서 이 양이온이 [수화 이온]이 되려면 반대로 열을 방출한다. 이것이 [발열 반응(양으로 표시)]이다. 이 두열을 합한 값을 금속 간에 서로 비교하면 [이온화 경향]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이 크기를 비교하여 금속 원소를 나열한 것이 [이온화 서열]이다. 앞의 예에서 아연이 구리보다 [이온화 서열이] 높을 것이다.
전해질 : 물 따위의 용매에 녹아 음, 양의 이온이 생기는 물질
수용액 : 용매가 물인 용액
전자 :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한다.
전류 : 양극에서 음극으로 흐른다.
산화 : 전자를 잃는 반응
환원 : 전자를 얻는 반응
'EBS 수능특강 독서 (2024학년 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EBS 수능특강 독서 004 화학 전지의 원리 [상] (0) | 2023.04.13 |
---|---|
EBS 수능특강 독서 003 고전을 읽자 [하] (0) | 2023.04.12 |
EBS 수능특강 독서 003 [하] 고전을 읽자 (0) | 2023.03.26 |
EBS 수능특강 독서 002 [중] 인공 지능 출현과 그 문제점 (0) | 2023.03.26 |
EBS 수능특강 독서 001 [중] 주자학과 실학의 차이 (0) | 2023.03.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