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을 구성하는 유창성과 의지력 (feat 노르에프린과 전두엽)
- 사전은 [창의성]을 [새로운 것]을 생각해 내는 특성 정도로 정의하지만 창의성은 [많은 요소]가 [결합]된 특성이다. 또 [ IQ]가 높은 사람이나 어떤 영역에 뛰어난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창적인 것도 아니다.] 이제 여기서 [창의성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에 [유창성]과 [의지력]이 어떻게 [뇌]에서 발현되는지 살펴보자.
- 인지적 [유창성]은 [관련이 없어 보이는 개념] 사이에서 [연관]을 발견하고 [새로운 발상]을 해내는 특성을 말한다. 이러한 능력은 보통 [긴장을 풀고 쉬고 있을 때] 잘 나타난다. 왜냐 하면 [긴장] 상태에서는 [대뇌 피질]에서 일어나는 [각성] 수준이 높아지고 그에 따라 [연상의 폭이 좁아져] 유창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흥분이나 각성 상태에서 많이 분비되는 [노르에프린]의 [농도]가 [신경 네트워크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과 관련 있다는 주장이 있다.
- 위의 주장은 [마중물 효과에 대한 실험] 결과를 보면 더 의미 있어 보인다. 인간의 신경 네트워크에는 [사전-의미 네트워크]가 있는데 [하나의 사전-의미 네트워크]에 [포함]된 [마중물 단어]와 [표적 단어]가 연속으로 주어지면 피실험자의 반응이 상대적으로 더 빠르더라는 것이다.
- 또 다른 연구자들의 실험을 보면, 각성 상태에서 분비되는 노르에프린의 역할에 대해 더 잘 알 수 있다. 노르에프린이 되기 위한 전 물질인 [L-도파]를 투여한 피실험자는 [노르에프린 수준이 올라]가 [사전-의미 네트워크를 좁혀] [유창성이 떨어] 지고 반대로 [노르에프린]의 수준을 [억제]하는 약물인 [프로프라놀롤]을 투여하면 사전-의미 네트워크를 [확장]하는데 도움이 되어 [유창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 다른 창의성의 요소인 [의지력]은 당장의 [보상 없이]도 [동기 유발]되어 과제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특성으로 창의적인 사람들에게 반드시 나타나는 특성이다. 뇌의 [시상 하부]는 [생리적 욕구]가 촉발되는 부위이고 [측두엽과 두정엽의 다중 양상 감각 연상 구역]에는 욕구를 충족시킬 [지식]이 저장되어 있다. 그런데 이 두 부분은 모두 [의지력의 핵심] 부분인 [전두엽]과 연결된다. [전두엽]이 당장의 보상이 없는 [장기적 목표를 설정]하면 측두엽과 두정엽의 [다중 양상 감각 연상 구역]으로부터 [지식]을 얻어 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전두엽]은 [시상 하부]에서 요구하는 [생리적 욕구를 촉발]하기도 하지만 반대로 생리적 욕구를 [억제]하여 장기적 목표를 이루는 [의지적인 행동]을 [촉구하기도] 한다. 결국 전두엽의 조율에 의해 창의적인 사람들은 의지력을 가지고 당장의 보상이 없어도 내적 동기에 의해 지속적인 활동을 이어갈 수 있는 것이다.
우리는 창의력이라고 하면 새로운 것을 생각해 내는 능력정도로만 알고 있다. 그리고 머리가 좋은 사람이나 전문직에 종사하는 각 분야에 뛰어난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훨씬 창의적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창의력은 복잡하게 많은 요소들이 얽혀서 만들어지는 속성이다. 특히 우리가 어떤 일에 집중하여 긴장할 때보다 한가롭게 쉴 때 창의력이 쉽게 발휘된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글에서는 창의력의 요소로 유창성과 의지력을 설명한다. 유창성은 거리가 먼 것들의 연관성을 만들어내는 능력으로 긴장된 상태에서 발휘되기 쉽지 않다. 이는 긴장 상태에서 분비되는 노르에피네프린이 신경 네트워크의 크기를 좁게 만들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의지력은 당장의 보상이 없어도 장기적 목표를 위한 과제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으로 뇌의 전두엽의 역할에 의해 가능해진다. 전두엽은 욕구를 촉발하는 시상 하부를 제어하고 측두엽과 두정엽의 지식을 활용하여 내적 동기를 유발하고 보상 없는 과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게 유도하는 것이다.
'EBS 수능특강 독서 (2024학년 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EBS 수능특강 독서 044 네트워크 표준 프로토콜 (OSI) 참조 모델 [하] (0) | 2023.04.18 |
---|---|
EBS 수능특강 독서 043 화학 반응 (활성화 에너지 수준고 촉매) [상] (0) | 2023.04.18 |
EBS 수능특강 독서 041 원자력 발전의 핵 재처리 과정 [중] (0) | 2023.04.18 |
EBS 수능특강 독서 040 행위자 연결망 이론 (라투르) [하] (0) | 2023.04.18 |
EBS 수능특강 독서 039 중심지 이론 [상] (0) | 2023.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