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자 - 연결망 이론 (라투르)
- [과학적 지식]은 자연이라는 실재를 객관적으로 반영하는 것이기에 사회적 맥락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믿어져 왔다. 하지[만] [과학도] 다른 지식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사회 요인에 영향을 받는 유동적 결과물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대표적으로 라투르의 [행위자 - 연결망 이론]이 이러한 구성주의의 입장을 취하며 모든 지식의 동등성을 주장하고 극단적 상대주의를 경계한다.
- [행위자 - 연결 이론]은 지식을 포함한 우리 주변의 모든 대상들을 행위자들 간의 [연결망]이라고 본다. 그렇기에 대상에 대한 탐색은 고정된 본질을 찾는 것이 아니라 [연결망]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그 과정을 보는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연결망]은 역동적이며 행위자의 수가 많고 그들이 이질적일수록 강화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행위자]는 인간만이 아니라 비인간을 포함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 라투르는 [연결망을 구축하는 과정]을 번역이라 칭했다. 그가 말한 [번역]은 이질적인 행위자들이 서로의 목표를 조율하여 하나의 연결망을 만드는 과정이다. 만약 당신이 총을 쥔다면 당신과 총은 각각이 행위자가 되고 연결망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라투르는 ‘당신은 손에 총을 쥐면서 달라지고, 총은 당신에게 쥐어지면서 달라진다.’라고 진술한 것이다.
- 이질적인 행위자들이 하나의 연결망을 만드는 [번역]이 [성공]적이면 더 넓고 촘촘하며 강한 연결망이 구축된다. 이렇게 되면 연결망은 역동성을 잃고 하나의 대상으로 간주되는데 라투르는 이를 [블랙박스]라고 칭했다. 이미 완성되었다고 인정되는 기술, 진리로 간주되는 과학 지식 등이 블랙박스화된 연결의 사례이다. 결국 [행위자 - 연결망 이론]에 의하면 [과학적 지식]은 과학자, 실험 장비, 교과서, 논문과 저서, 기술, 실험실 등 다양한 행위자로 이루어진 연결망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보편적 진리]는 한 과학자의 주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한 과학자의 주장이 다양한 행위자와 [연결망]을 이루면서 인정되는 것이다. 그 주장 자체의 내재적 장단점이나 한계에 의해 보편적 진리가 인정되고 안 되고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 [행위자-연결망 이론]은 과학적 지식을 규명학기 위해 기성과학이 아닌 만들어지고 있는 과학을 추적한다. [기존 구성주의]가 행위자를 인간에 한정한 것과 달리 비인간도 포함시켜 [이질적 구성주의]라고 불린다. 또 [근대주의]가 인간과 비인간, 인간과 자연을 분리하는 이분법에 기반한 것과 달리 인간과 비인간에 대등한 가치를 부여하여 [비근대주의]라 불릴 수 있다.
우리가 요즘 모의고사나 수능에서 보던 과학 지문하고 결이 많이 다르다. 10여 년 전의 수능이나 모의고사에 나올만한 과학 지문이다. 과학 이론 자체나 기술을 다루지 않고 과학에 대한 철학적 접근이나 가치 평가는 최근 10여 년 사이에 수능 관련 지문에서 멸종된 듯하다.
두 가지로 생각해 보자. 첫째 EBS출제자가 헛다리를 짚었거나, 둘째 수능 독서 지문이 너무 전문적인 깊이를 자랑하니 수능 학습자에게 부담이 된다고 판단하여 이런 식의 지문으로 변화를 주도하려는 의도가 숨어 있을 수도 있다. 그런데 어떤 의도이든 우리 수험생들에게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어려운 지문에 단련된 상태이니 이런 지문이 나오면 쉽게 해결하면 된다고 생각하고 있자!! 어려운 것을 준비했다고 쉬운 것을 못한다는 말은 준비가 안 됐다는 변명에 지나지 않는다. 독서는 지적 수준을 높이고 지적 욕망을 키우는 기회라고 생각하고 기쁘게 접근하자고 미안하지만 말하고 싶다. 쏴~아~리~
'EBS 수능특강 독서 (2024학년 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EBS 수능특강 독서 042 창의성을 구성하는 유창성과 의지력 (feat 노르예프린과 전두엽) [중] (0) | 2023.04.18 |
---|---|
EBS 수능특강 독서 041 원자력 발전의 핵 재처리 과정 [중] (0) | 2023.04.18 |
EBS 수능특강 독서 039 중심지 이론 [상] (0) | 2023.04.18 |
EBS 수능특강 독서 038 공공 부문 의사 결정에 대한 공공 선택론 [하] (0) | 2023.04.17 |
EBS 수능특강 독서 037 헌법 재판의 본질적 성격에 대한 이론들 [중] (0) | 2023.04.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