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 지능의 창의성 (진화 음악)
- [인공 지능]의 [사고 능력]은 현실화되었다. 거기에 [창의성]까지 갖게 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인공 지능이 [창조하는 예술]의 [가능성]과 [가치]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진다. 실제로 인공 지능이 [새로운 음악]을 만들어내고 있다.
- 최근 인공 지능이 만든 [진화 음악]은 생물 유기체의 진화와 발생을 모방한 [유전 알고리즘]을 활용한다. 이 유전 알고리즘이 만들어 내는 [음악 유기체]는 생물 유기체가 하나의 [세포]에서 발생하듯이 하나의 [음]에서 계산에 의해 [파생된 음악]이다. 이 음악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음악 유전체]의 [통제] 하에 이루어진다. 생물의 [유전체]가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듯이 [음악 유전체]도 [음악 유전자] 역할을 하는 [원소]를 가진다. 이 원소가 [특정]하게 [행렬 형태]로 배열된 것이 [음악 유전체]이고 음악 유전의 [설계도]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배열]의 [독특성]이 [음악 작품]의 [구조적 특성]으로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 [생물] 세계에서 [짝짓기]를 통해 [수정란]을 만들듯이 [음악] 유기체도 [짝짓기]를 통해 [단일한 음]을 형성한다. 이 [음]은 [부모] 음악 유기체 각각에서 [절반 씩]의 유전체 행렬 원소를 가져와 만들어진다. 또한 생물 유기체의 [돌연변이]가 부모 세대에 없는 새로운 형질을 만들듯이 [음악 유기체]의 짝짓기에 [도] [돌연변이 함수 작용]에 의해 [임의 변수]가 [투입]되어 [유전체 행렬]의 [0.1~0.5%의 원소 값]을 [무작위]로 [다른 값]으로 [대체]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하나의 음]으로부터 [여러 개의 음]이 연쇄되는 [새로운 음악 유기체]가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음악 유기체는 [짝짓기, 돌연변이, 발생]의 과정을 거치면서 [유전체 행렬 특성]이 바뀌는 [진화]를 이루어 새로운 후속 새대의 [음악 유기체]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 [생물] 세계에 [자연선택]이 [진화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처럼 [음악] 유기체의 세계에서는 [적합 함수]들이 [필터링]을 통해 개체군을 형성하는 [음악 유기체]들 중 어떤 것을 [선택]하게 된다. [적합 함수]는 음악적 [형식], 음악적 [취향], [음의 진행] 특성 등을 따지게 된다. 결국 적합 함수에 의한 평가 과정을 통해 [적합도가 높은] [10~20%]의 [음악 유기체]가 남으면 이들이 [무작위로 짝짓기]를 하고 [발생 과정]을 거치면 [새로운 개체군]을 만들어 내게 된다.
- 유전자 알고리즘으로 완성된 많은 음악 작품 중 [선별된 것]이 [세상에 공개]된다. [인공 지능]이 [사람보다] [효율적]으로 [창의적]인 음악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은 [틀림없는 듯]하다. 하지[만] 그 음악의 [가치]는 [사람]이 [판단]하는 것이기에 세상에 없는 [참신성을 가진 음악이라도] [사람의 취향]에 [어긋나지 말아야] 하는 [딜레마]를 극복해야만 한다.
인공 지능이 그림을 그리거나 음악을 작곡한다는 이야기는 누구나 들어 안다. 그런데 그렇게 만들어진 작품들에 대한 두 가지 의문이 생길 수 있다. 과연 그렇게 만들어진 작품들은 독창적일까? 또 그렇게 만들어진 작품들의 가치를 우리는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일단 인공 지능의 음악은 생명 유기체의 발생과 진화 과정을 모델로 하여 수정란과 같은 하나의 음에서 파생하여 음악을 만든다. 그렇게 만들어진 음악들을 짝짓기 하여 두 보모 세대의 음악에서 특성을 반반 씩 가진 음악을 만들게 되니 독창성은 어느 정도 확보될 것이다. 거기다가 짝짓기 과정에 돌연변이까지 일어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어 독창적인 음악이 만들어지는 것은 분명 담보된 것으로 보인다.
이제 남음 문제는 가치이다. 음악을 대중이나 마니아가 즐기는 대상이라고만 본다면 사람들의 취향에 맞는 음악이 선택되고 유통되어 그들에게 만족을 준다면 가치 있는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예술 창작을 위한 인간 개인의 고뇌 희열 등이 삭제된 예술이 인류를 위해 필요한 것인가 하는 나의 의문도 생긴다. (첨언ㅋ)
'EBS 수능특강 독서 (2024학년 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EBS 수능특강 독서 050 퓨가시티와 이탈 성향 (feat 이상기체) [중] (0) | 2023.04.30 |
---|---|
EBS 수능특강 독서 049 진동 센서 기술 (feat 압전 효과) [중] (1) | 2023.04.30 |
EBS 수능특강 독서 047 데이터의 수집 분석 (이상치와 결측치) [중] (0) | 2023.04.30 |
EBS 수능특강 독서 046 저울의 원리 (양팔저울, 대저울, 전자저울) feat 압전효과 [중] (0) | 2023.04.30 |
EBS 수능특강 독서 045 케플러의 행성 운동의 법칙 [상] (0) | 2023.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