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학과 실학의 차이
- [주자학]에서는 [인간]과 [자연]을 [통일적]으로 이해한다. 그러다 보니 인간 사회 운영원리인 [도리]와 자연법칙인 [물리]는 [같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라 주자학이 제시하는 사회에서 지켜야 할 도리는 너무나 자연스러운 것이 되는 강점을 가지게 된다.
-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여 지식을 완전하게 이룬다는 [격물치지]에서 [물]은 일어나는 일, 행위를 의미하는 [사]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결국 [주자학]의 [물리]는 자연의 법칙만을 이야기하는 현대적인 [물리] 개념과는 좀 다르다. 사물을 연구하여 이를 수 있는 [지], 지식은 인간 사회의 운영 원리이다. 그러므로 자연의 질서나 인간 사회의 질서나 결국 같은 것의 다른 모습이라고 본 것이다. 첨언하자면, 그래서 과거 성리학적 바탕을 가진 사대부의 문학에서 자연이 교훈을 주는 대상으로 표현되었던 것이다.
- [주자학]의 도리와 물리를 하나로 보는 시각은 자연을 제대로 인식할 수 없게 한다. [실학자]인 정제두, 이익, 정약용 등은 다른 시각을 가졌다. 전통적인 주자학적 시각에서 벗어나, [도리]와 [물리]를 [분리]하고 자연학의 개별성을 확립하여 자연 탐구의 길을 개척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주자학은 인간과 자연을 하나로 보았다. 그러다 보니 자연을 제대로 탐구할 수 없었다. 그래서 실학에서는 자연과 인간을 분리한다. 드디어 자연의 과학적 연구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한다. 별로 어렵지 않은 지문이지만 물리, 도리, 격물치지 등의 용어에 익숙해지는 것이 필요하다. 자주 다뤄지는 내용이지만 어렵지 않기에 반복적으로 읽을 지문은 아니다. 그래서 [중]
'EBS 수능특강 독서 (2024학년 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EBS 수능특강 독서 004 화학 전지의 원리 [상] (0) | 2023.04.13 |
---|---|
EBS 수능특강 독서 003 고전을 읽자 [하] (0) | 2023.04.12 |
EBS 수능특강 독서 004 [하] 화학 전지의 원리 (0) | 2023.03.27 |
EBS 수능특강 독서 003 [하] 고전을 읽자 (0) | 2023.03.26 |
EBS 수능특강 독서 002 [중] 인공 지능 출현과 그 문제점 (0) | 2023.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