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BS 수능특강 문학 (2024학년 대비)

EBS 수능특강 문학 045 역마 (김동리)

by 곰보리 2023. 4. 19.
  1.  <성기의 역마살 : 근본 원인과 해결 노력>
    [성기의 할머니] (떠돌아다니는) 남사당에게 반했었다. 
    [성기 어머니 옥화] (떠돌아다니는) 을 서방으로 정했다. 
    [성기]의 타고난 역마살 운을 타고난 원인 제공자는 할머니 장본인이라 
    [할머니]는 [성기]에게 중질을 시켜 역마살을 떼려 하였고
    [어머니 옥화]는 불경보다 책장사에 끌려하는 [성기]의 눈치를 보고 꼭 화개장만 보기로 다짐을 받은 후 책전을 내주어 역마살을 풀어보려 한다. 

  2. <장날이라 책장사하러 절에서 내려온 성기가 계연에게 관심을 갖는다>
    [옥화] 집에 온 성기를 보고 놀란 듯 왜 이제 오냐며 수건과 부채를 집어 준다. 
    [계화] 갸름한 얼굴, 흰자위 검은자위가 꽃같이 선연한 두 눈으로 성기를 바라본다. 
    [성기] 계화를 보고 가슴이 찌르르하고 눈에 생기가 돈다. 
    [옥화] 즐거운 얼굴눈치를 살피며, [성기]에게 점심 상을 봐주며 <구례> 사는 체 장수가 딸인 계연을 잠깐 맡아 달라고 했음을 알린다. 그런 사람 딸로는 안 보이지 않냐는 말까지 덧붙이며. 
    [성기] 이야기를 듣느라 숟가락도 들지 않더니 결국 밥은 반도 먹지 않는다

  3. <이튿날, 책전, 성기와 계화의 사랑은 시작되고>
    [성기]는 집에서 가까운 거리지만 처녀티가 나는 남의 애기가 점심을 이고 온 것에 대해 미안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계화]는 그러한 빛도 없이, 꽃송이같이 환한 두 눈에 웃음까지 담고. 음식전을 바라본다.

  4. <떠나는 계연 잡지 못하는 성기>
    [옥화]와 [체장수]가 이별하고 있는 성기와 계연을 바라보고 있다.
    [계연] 성기의 얼굴 열심히 바라본다. (붙잡아 주기를 바랐을 것이다.)
    [성기] 눈에 불꽃이 타오을 뿐, 어떤 명령도 못하고 기적도 일어나지 않는다.
    [계연] 오빠 편히 사시오 울먹이는 목소리를 남기고 떠난다.
    [성기] 뻐꾸기 울음 속에 떠나는 계연을 우두커니 지켜보고 있을 뿐이었다.


  5. <옥화가 밝힌 계연과의 관계, 얘기를 들은 성기는 새로운 결심>
    계화가 떠나고 앓아누웠던 성기 <이듬해 청명 무렵(4월 5일쯤)>
    [성기]는 자리에서 일어나 미음 그릇을 비운다.
    [옥화]는 강원도(성기 아버지 계신 곳)로 갈 것인지, 아니면 장가들어 어미와 함께 화갯골에 계속 살 것인지 묻는다.
    [성기] 둘 다 싫다고 고개를 돌린다.
    <그해 봄이 오기 전(역순행)>
    [사람들]은 성기가 회춘할 것을 거의 단념하고 있었다.
    [옥화] 이왕 죽을 것이라면 어미( 왜 계연이를 잡지 못했는지) 속 마음이나 알고 가라고, 체장수는 옥화 자신의 아버지고 계연은 배다른 동생(성기에게 이모)이라는 얘기를 털어놓는다. 체장수 영감이 서른여섯 해 전이라는 말을 했을 때 (혹시 옥화 자신의 아버지일 수도 있다는 생각에) 가슴이 섬뜩했지만 설마 했었고 명도(점쟁이)에 물으니 훤히 사정을 알고 말해 망신스러웠다는 얘기도 덧붙인다.
    [성기] 두 눈에 광채를 띠고 어머니 옥화의 얼굴을 쳐다본다.
    [옥화] 인륜(이모와 조카 사이가 된 것을) 어쩌겠냐며 아들의 손을 잡고 운다.
    [성기] 마지막 하직 같은 어머니 마음에 담긴 얘기를 듣고 의외로 힘을 얻고 새로운 결심이나 한 듯 입 살을 깨문다.
    [옥화] 이제 전과 같이 고지식한 미련을 두는 것도 아니다. 좋을 대로 해라. 한다. [성기] 다시 드러눕는다.

  6. <한 달 넘은 뒤 이른 여름, 떠나는 성기>
    [성기] 옥화에게 엿판 하나만 맞춰달라고 한다. (타고난 역마살 운명에 순응)
    [옥화} 무엇으로 머리를 얻어맞은 듯하다.(충격)
    <한 보름이 지난 어느 아침, 맑게 갠 화개 장터 삼거리>
    [성기]는 [옥화]와 이별한다.
  성기는 할머니와 떠돌이 남사당패의 사이에서 태어난 옥화와 떠돌이 중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처럼 성기는 떠돌며 살아야 하는 역마살을 운명처럼 타고 난 사람이다. 이것을 알았던 할머니와 어머니 옥화는 성기를 절에 보내고 화개장터에서 책장사를 시켜 역마살을 풀어내려고 한다. 
  그러던 중 나타난 계연과 성기가 서로 사랑하자 옥화는 성기가 계연과 정착해 살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에 부푼다. 하지만 옥화근 계연이 자신과 배다른 동생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이모와 조카가 결혼할 수는 없는 일이기에 계연을 떠나보낸다.
  그 충격에 벗어나지 못한 성기는 결국 앓아눕게 되고, 옥화는 어쩔 수 없이 자신과 계연의 관계를 성기에게 얘기한다. 이 얘기를 들은 성기는 자신이 운명적으로 떠돌 수밖에 없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오히려 생기를 되찾고 엿판을 만들어 길을 떠난다.
  마지막 장면의 길은 세 갈래 길, 화갯골은 성기가 살던 곳으로 이미 계연과 쌍을 이루어 살 희망은 사라지고 말았다. 구례는 계연이 사는 곳, 인륜을 어기고 찾아갈 생각은 없다. 하동으로 난 길은 성기가 선택한 길로 떠돌이의 길이다. 정착(화갯골)도 사랑을 찾아 떠나(구례)는 것도 모두 운명을 거역하는 일. 결국 성기는 자신의 운명(하동)에 순응하게 된다.

뭘 봐!! 지금 할말 있어?? 공부나 해~~ 지금은 공부할 때!!! 파이팅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