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수능특강 독서 (2024학년 대비)56 EBS 수능특강 독서 042 창의성을 구성하는 유창성과 의지력 (feat 노르예프린과 전두엽) [중] 창의성을 구성하는 유창성과 의지력 (feat 노르에프린과 전두엽) 사전은 [창의성]을 [새로운 것]을 생각해 내는 특성 정도로 정의하지만 창의성은 [많은 요소]가 [결합]된 특성이다. 또 [ IQ]가 높은 사람이나 어떤 영역에 뛰어난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창적인 것도 아니다.] 이제 여기서 [창의성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에 [유창성]과 [의지력]이 어떻게 [뇌]에서 발현되는지 살펴보자. 인지적 [유창성]은 [관련이 없어 보이는 개념] 사이에서 [연관]을 발견하고 [새로운 발상]을 해내는 특성을 말한다. 이러한 능력은 보통 [긴장을 풀고 쉬고 있을 때] 잘 나타난다. 왜냐 하면 [긴장] 상태에서는 [대뇌 피질]에서 일어나는 [각성] 수준이 높아지고 그에 따라 [연상의 폭이 좁아져] 유창성이 떨어지.. 2023. 4. 18. EBS 수능특강 독서 041 원자력 발전의 핵 재처리 과정 [중] 원자력 발전의 핵 재처리 과정 [원자력 발전]은 우라늄을 주원료로 하여 핵분열 연쇄 반응을 유도하여 에너지를 얻는 것이다. 그런데 [천연 우라늄]의 구성은 99% 이상이 핵분열이 일어나지 않는 우라늄-238이고 핵분열이 일어날 수 있는 [우라늄-235]는 0.7%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결국 원자력 발전을 통해 에너지를 얻으려면 핵분열이 가능한 우라늄-235를 3% 이상으로 높이는 [우라늄 농축] 과정이 먼저 필요하다. 우라늄 농축으로 우라늄-235의 비율이 3~5% 되는 원기둥 모양의 [연료봉]을 만든 후 이를 다발로 묶어 [핵연료]를 만든다, 다음 핵원료를 원자로에 넣고 중성자를 충돌시키면 [해분열]이 유도되어 에너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후 우라늄-235의 비율이 낮아져 반응력이 떨어지면 핵연료.. 2023. 4. 18. EBS 수능특강 독서 040 행위자 연결망 이론 (라투르) [하] 행위자 - 연결망 이론 (라투르) [과학적 지식]은 자연이라는 실재를 객관적으로 반영하는 것이기에 사회적 맥락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믿어져 왔다. 하지[만] [과학도] 다른 지식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사회 요인에 영향을 받는 유동적 결과물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대표적으로 라투르의 [행위자 - 연결망 이론]이 이러한 구성주의의 입장을 취하며 모든 지식의 동등성을 주장하고 극단적 상대주의를 경계한다. [행위자 - 연결 이론]은 지식을 포함한 우리 주변의 모든 대상들을 행위자들 간의 [연결망]이라고 본다. 그렇기에 대상에 대한 탐색은 고정된 본질을 찾는 것이 아니라 [연결망]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그 과정을 보는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연결망]은 역동적이며 행위자의 수가 많고 그들이 이질적일수록 .. 2023. 4. 18. EBS 수능특강 독서 039 중심지 이론 [상] 중심지 이론 [중심지 이론]은 [도시]의 취락이나 상업 입지의 [분포]가 [규칙성]을 지닌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을 이해하려면 [재화의 도달 거리]와 [문턱값]이라는 개념을 알아야 한다. 재화의 도달 거리는 도시 중심지에서 주변지로 물건이 [판매]될 수 있는 [최대한의 거리]를 의미하며, 문턱값(=최소 요구치)은 판매 [수익이 총비용]을 [넘기 시작]하는(그래서 이윤이 생기기 시작하는) 거리를 말한다. 이 두 개념은 공급자와 판매자 어느 쪽에서든 생각해 볼 수 있는 개념이다. 먼저 [공급자 입장]에서 다음의 그래프를 보자. 지대(땅에 대한 비용)를 제외하고 공급자의 비용에 생산비와 운송비만 있다고 하면 공급자의 [이윤]은 [수익]에서 [생산비]와 [운송비의 합]을 [뺀] 값이 된다. 그러므로 그래프의 [.. 2023. 4. 18. EBS 수능특강 독서 038 공공 부문 의사 결정에 대한 공공 선택론 [하] 19세기에는 [조직]을 하나의 살아 있는 [유기체]처럼 보는 [기능주의 이론]의 시각에서 공공 기관의 의사 결정을 분석했지만 공공 기관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에 [베버]는 [공무원의 행동 동기를 분석]하여 그들은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고자 [공익]을 추구한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공무원]들은 정치인이나 상급 관료의 [결정을 충실하게 집행]하기에 스스로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보았다. 하지만 [관료들의 특성]에 [따라] [정책이 실현]되기도 안 되기도 하며 [하급자]가 언제나 [상급자]에게 [무조건 복종]하는 것도 [아니]라는 점에서 베버의 이론은 [비판]을 받게 된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공공 기관의 의사 결정을 분석하기 위한 [공공 선택론]이다. 공공 선.. 2023. 4. 17. EBS 수능특강 독서 037 헌법 재판의 본질적 성격에 대한 이론들 [중] 헌법 재판의 본질적 성격에 대한 이론들 [헌법]은 [국가]의 정치와 사회 질서의 [지침]을 제공하는 [최고]의 [규범] 체계로 [하위법]은 헌법에 [위반]되어서는 [안되]고 국가의 [기관들]도 공권력을 행사할 때는 헌법을 [준수]해야 한다. 그래서 어떤 [법률]이 헌법에 위배된다는 주장이 제기되거나 [공권력]이 헌법에 보장된 [국민의 기본적인 권리]를 침해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면 [헌법 재판소]에서 [헌법 재판]을 하게 된다. [헌법 재판]은 [헌법]이 [최고]의 규범임을 보여주고 실제로 [효력]을 발휘하는 법이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제도적 [장치]이다. 그러한 헌법 재판의 [본질]적 성격은 무엇인가에 대해 다양한 이론들이 존재한다. 먼저 [사법 작용설]은 사법 기관의 [일반 법정]에서 법률을 해석하고 .. 2023. 4. 16. 이전 1 2 3 4 5 6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