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BS 수능특강 독서 (2024학년 대비)

EBS 수능특강 독서 039 중심지 이론 [상]

by 곰보리 2023. 4. 18.

중심지 이론

  1. [중심지 이론]은 [도시]의 취락이나 상업 입지의 [분포]가 [규칙성]을 지닌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을 이해하려면 [재화의 도달 거리]와 [문턱값]이라는 개념을 알아야 한다. 재화의 도달 거리는 도시 중심지에서 주변지로 물건이 [판매]될 수 있는 [최대한의 거리]를 의미하며, 문턱값(=최소 요구치)은 판매 [수익이 총비용]을 [넘기 시작]하는(그래서 이윤이 생기기 시작하는) 거리를 말한다. 이 두 개념은 공급자와 판매자 어느 쪽에서든 생각해 볼 수 있는 개념이다.
  2. 먼저 [공급자 입장]에서 다음의 그래프를 보자. 지대(땅에 대한 비용)를 제외하고 공급자의 비용에 생산비와 운송비만 있다고 하면 공급자의 [이윤]은 [수익]에서 [생산비]와 [운송비의 합]을 [뺀] 값이 된다. 그러므로 그래프의 [수익선]이 [비용선] 보다 [위]에 있는 부분에서 공급자는 이윤을 얻게 되는 것이다. 결국 [A지점]에서 이윤이 생기기 시작했으니 이 지점이 [문턱값]이 되고 [B지점]까지만 이윤이 생기고 있으니 이 지점이 [재화의 도달 거리]가 된다.
  3. 다음 [수요자 입장]에서 문턱값과 재화 도달 거리를 알려면 [공간 수요 그래프]를 보아야 한다. 공간 수요 그래프는 [거리에 따라] [수요가 감소]하는 것을 함수로 표현한 그래프로 아래와 같다. [원래 수요]는 가격에 반비례하게 되는데 이를 함수로 표현하면 [Q=Qo-aP]이다. 앞의 [Qo]는 재화를 0원으로 팔았을 때의 수요량, [공짜 수요량]을 의미한다. [물론] [다양한 변수]들에 의해 그 수량은 변할 수 있다. 그리고 [a는] 가격에 따라 [수요가 감소하는 비율]을 나타낸다. P는 당연히 시장에서 형성된 가격을 의미한다. 결국 시장 가격이 올라가면 수요량은 a비율에 따라 감소하고 시장 가격이 내려가면 같은 비율로 수요량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소비자 입장]에서 재화의 가격은 시장 가격에 구매 통행의 비용, 즉 점포까지의 [이동 비용을 더해야] 얻을 수 있다. 그래서 시장 가격 Po에 [단위 거리 당 교통비 b]와 [점포까지의 거리 X]를 곱한 값을 더해 주어야 한다. 즉 소비자 입장에서 [실제 구매 가격]은 [Po+bX]에 해당한다 이를 앞의 함수에 대입하면 소비자가 점포까지 이동하여 재화를 구매할 때 수요 함수를 알 수 있다. [Q=Qo-a(Po+bX)=Qo-aPo-abX]가 공간 수요 그래프 함수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 Qo-aPo]는 구매 통행이 전혀 없을 때 수요량을 나타내고 [abX]는 [거리에 따른 수요량 감소율]을 나타낸다. 그런데 그래프는 시작적으로 단순하다. 거리가 멀어질수록 수요량은 줄어들고 그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까지 구매는 이루어질 것이기에 그 [접점]이 수요자 입장에서 [재화의 도달 거리]가 되는 것이다. 그 지점을 넘으면 소비자의 구매는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4. [점포의 수익]은 당연히 재화를 많이 팔면, 즉 [수요량]이 [증가]하면 [늘어] 난다. 그리고 <그림 1>의 그래프를 보면 [판매 거리가 증가]할수록 [수익이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수요자 입장]에서는 거리가 멀수록 재화의 [가격이 올라] 가는 것이기에 [수요량은 줄어] 들게 되며 <그림 2>의 [재화의 도달 거리를 넘어 서면] [구매]가 이루어지지 [않아] [점포]의 입장에서는 [이윤]이 더 이상 [발생할 수 없게] 된다. 또 점포의 입장에서 문턱값과 재화의 도달 거리는 점포를 원점으로 했을 때 원형으로 나타난다. 이때 문턱값과 재화 도달 거리 사이의 범위에서 이윤을 얻게 된다. 그런데 지역의 [소득]이 [증가]하여 소비 성향이 좋아진다면 [최소 요구치의 범위]는 [줄어] 들고 [교통비가 낮아] 진다면 [재화의 도달 범위는 확대] 된다.
  5. 이상에서 살펴본 [중심지 이론]은 현실 세계에 대한 가정을 바탕으로 한 연역적 탐구의 결과이기에 대상 지역을 너무 [등질적(특징이 고르게 분포한) 평면으로 가정]했다는 [비판] 등을 피할 수 없다. 하지만 널리 알려지고 널리 쓰이고 있는 경제이론이기는 하다.
  기본적인 수요 곡선과 공급 곡선을 이해하고 그 각각의 법칙을 이해한다면 어렵지 않은 지문이다. 이 지문을 공부하고 반드시 경제 기본 개념 강의를 다시 들어 보기를 바란다.
 그리고 항상 경제 지문 중에 그래프나 공식이 있는 지문은 결과적으로 그래프만 놓고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도록 하고 공식의 의미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말자!! 기본을 튼튼하게 파이팅!!

2단라과 3단락을 읽으면서 함께 봅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