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BS 수능특강 독서 (2024학년 대비)

EBS 수능특강 독서 020 르네상스 음악의 변화 [상]

by 곰보리 2023. 4. 14.

르네상스 음악의 변화

  1. <15세기 유럽>의 [음악]은 [종교적 목적]을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르네상스 >시대가 열리면서 [인쇄술]이 발달하고 [악보]가 보급되면서 [대중]이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음악이 나타나게 된다.
  2. [르네상스] 시기의 음악은 이전의 3성부에 [베이스]가 추가된 [4 성부: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짜임새가 유행하게 되었다. 4 성부에서 가장 높은 [소프라노]가 [선율]이 되고 나머지 [3개의 성부]가 화음적 [배경] 역할을 하는 음악을 [호모포니]라고 한다. 이런 음악은 사람들이 따라 부르기에 수월했다. 하지만 사람들의 관심이 개별적 성부들로 옮겨가면서 [각 성부가 대등]한 비중을 차지하는 [폴리포니] 음악이 유행하기에 이른다. 더 나아가 한 성부가 선율을 시작하면 다른 성부가 [간격을 두고 앞 선율을 모방]하는 [모방 기법], 즉 [돌림 노래] 형식도 많이 사용되게 된다.
  3. [르네상스] 음악은 [음정]에도 [변화]가 생겼다. [영국 음악]이 [전파] 되면서 15세기 중엽 이전까지 1, 5, 8도만을 협화 음정으로 인정하여 사용하다가 [3, 6도 음정]도 [협화 음정]으로 인정하여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특히 영국의 3 성부 연주 방식, 즉 가운데 성부만 악보에 제시하면 그 음의 4도 위의 음을 높은 성부에서 연주하는 나름 즉흥 연주 기법인 [파버든]이 유럽 대륙에 전해졌다. 그에 따라 유럽 대륙에서는 6도 또는 8도 음정에 해당하는 두 성부만 기록해 주면, 가운데 성부를 높은 성부의 4도 아래의 음정으로 채워 연주하는 [포부르동]이라는 연주 방식이 나타났다. 물론 세 성부의 음의 길이는 거의 같게 연주하였다.
  4. 또 르네상스 시기에는 상황에 따라 [음]들을 [변형]하는 [무지카 픽타]라는 규칙이 존재했다. 예를 들어 도와 미 사이는 반음이 한 개 있는 완전 4도의 관계인데, 파와 시 사이에는 반음 간격이 없이 온음 간격만 존재하여 증 4도가 된다. 이 경우 의도적으로 시를 반음 내려 연주하여 완전 4도의 음정으로 연주한다는 것이다. [가사]에 있어서도 르네상스 시대에는 변화가 있었다. 초기에는 가사의 효과적 표현을 경시했지만 중기에 이르러 [가사 내용]에 맞게 [음이나 가락을 표현]하는 [가사 그리기 기법]이 유행하게 된다.
르네상스 시기의 음악은
1. 베이스 성부가 추가되어 4성부 음악이 유행하게 되었다.
2. 1도, 5도, 8도 외에 3도와 6도도 협화음으로 인정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3.. 적절한 규칙으로 음을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4. 가사의 내용을 충실하게 표현하기 위해 음과 가락을 이용하게 되었다.

오호! 표정들 봐!! 락밴드 포스야~~

댓글